공부?/국비 지원 일기장

41일차 - 디스크 관리

무무요 2024. 9. 2. 17:49


=======

기본명령어
ls / cd / mkdir / cp / rm / mv

계정관리(파일/디렉터리)
useradd / groupadd / /etc/passwd / chown, chmod

패키지관리
dnf(인터넷필요) / yum / rpm(인터넷필요X 대신일일히 파일을 구해야함)
apt-get(데비안) = -y install(레드햇) / rpm -Uvh /

========

signal
- 동작 중인 프로세스에게 전달 하는 메시지의 의미를 가짐
- 각 메시지 마다 프로세스가 수행 할 동작이 정의되어 있음
- # kill –l 확인 가능

signal 종류 확인
# kill -l
SIGHUP(1) : 프로세스 실행
SIGINT(2) : 키보드 "Ctrl + c(인터럽트)" 기능 수행 -> 프로세스 종료
SIGKILL(9) : 커널을 통해 직접적으로 프로세스 종료(강제종료) -> 프로세스가 사용 중이던 데이터를 기록하지 않음
SIGTERM(15) : 프로세스를 통해 정상 종료 -> 저장 할 데이터가 있을 경우 저장 후 종료

주로 90%이상 프로세스를 종료하는 명령어 15 숫자를 입력해 정상 종료를 시도
PID 넘버를 알아내서(ps -ef) 대부분 9로 죽임(강제 종료)
# ps -ef | grep apache(PID찾기 예제)
# kill -9 PID  (PID 넘버(숫자)로 종료 시키기)
# pkill -9 name (이름으로 종료시키기=pkill)

포그라운드(Foreground)
- 프로그램의 일반적인 실행방식 (화면에 실행한 프로그램 출력)
- 사용자와 마치 대화를 하듯 입력과 출력을 통해 상호작용하며 실행하는 형태

백그라운드(Background)
- 프로세스 실행 중 다른 프로세스를 실행할 수 있는 형태
- 실행중인 프로세스와 입/출력을 사용할 수 없음
- 서비스 제공을 위한 데몬 프로그램은 대부분 백그라운드 방식으로 동작 시킴
- 백그라운드 프로세스는 kill을 사용하여 종료함

백그라운드로 실행
- 명령어입력뒤에 “&” 를 붙여서 실행
- 작업번호와 PID를 출력하고 백그라운드로 실행됨
# gedit &

JOB
- 터미널에 의해서 제어되는 프로세스
- 모든 job은 shell에 의해서 작업번호를 부여받음

jobs
- 백그라운드로 실행되고 있는 작업번호 목록 확인
# edit &

fg
- 백그라운드로 동작중인 프로세스를 포그라운드로 전환
# fg <작업 번호>

bg
- 포그라운드로 동작중인 프로세스를 백그라운드로 전환
# bg <작업 번호>


디스크 관리

구성방식
- 기본 디스크
- 동적 디스크

기본 디스크
- 일반적인 Desktop 환경에서 사용
- 주파티션, 확장파티션, 논리 드라이브를 이용하여 구성
- 하나의 물리적인 하드디스크를 논리적인 공간으로 분할하여 사용
- 공간이 연속해서 존재해야 함 = 연속된섹터들의집합

동적 디스크
- 성능 향상 또는 가용성을 위해 사용
- 볼륨을 이용하여 구성함
- 하나의 물리적인 하드디스크의 공간을 논리적으로 분할하거나(파티션개념) 여러개의 물리적인 하드디스크를 하나의 논리적인 공간으로 결합


df
- disk free
- 파일 시스템에 할당된 전체 용량, 사용량, 사용 가능 용량, 사용률, 마운트 정보 등
- 일반 사용자도 사용 가능

사용법
# df [옵션]
disk -h

옵션
-a : 모든 파일 시스템의 정보 확인
-i : Size대신 inode 사용 정보 확인
-k : 단위를 KB로 확인(default)
-h : 단위를 MB로 확인
-t : 지정한 종류의 파일 시스템 확인
-x : 지정한 종류의 파일 시스템을 제외한 정보 확인

df(디스크용량을 MB 단위로 표시)

 

 

du

- disk usage

- 파일 및 디렉터리의 용량 확인

 

사용법
# du [옵션] [파일 또는 디렉터리 이름]

옵션
-a : 파일까지 확인 (default : 디렉터리)
-s : 전체용량의합계를확인
-b : 단위를byte로 확인
-k : 단위를KB로확인
-l : 하드링크된파일까지확인
-h : 용량단위표시
-sh 사용

fdisk
- file system disk
- 파티션 테이블을 생성, 수정, 삭제

1. 파티셔닝 => fdisk(file system disk)
2. 포맷 => mkfs(make file system)
3. 마운트 => mount

사용법(현재 파일 시스템의 파티션 정보 확인)
# fdisk -l

사용법(파티션 생성)
# fdisk [디스크 장치이름]
- windows의 diskpart처럼 디스크 관리 모드가 지원 됨

# fdisk /dev/설정할디스크
command 모드로 들어와짐
command : m = 메뉴얼
command : p = print 약자 정보 확인
command : n = new 의 약자 새로운 파티션 설정

n으로 새로운 파티션 설정

파티션 타입 p 로 지정

넘버 = 2번째 파티션 지정

first sector = 거의 그냥 엔터로 넘김 , 엔터
last sector = 설정할 용량 지정(K,M,G,T,P) 두개로만 쪼갤것이기 때문에 두번째엔 값을 넣지 않는다

 

파티션 삭제

d 입력후 2번째 파티션 삭제를 위해 2 입력

2 삭제

1번째 파티션 삭제를 위해 d 입력

1번밖에 없기에 바로 삭제된다.

 

짧막 실습

8/8/4G로 나누기

1번째 파티션 설정

n 파티션 생성

p primary 방식

파티션 넘버 = 지정없이 엔터만 누르면 순차적으로 생성됨 = 1번

first sector = 그냥엔터

Last sector = 8/8/4 이므로 +8G 로 설정

완료

2번째 파티션도 똑같이

똑같이 생성, 방식 지정, 파티션넘버 지정 후 섹터 용량 지정(마지막 파티션은 라스트 섹터도 엔터로 한다.)

 

파티션 6개로 쪼개기(주파티션 3개와 확장 파티션 3개 (5/5/5 2/2/1 GB))

1~3 파티션 똑같이 생성

확장(논리드라이브)생성을 위해 n , extended 선택, first, last sector 둘다 그냥 엔터(나머지 용량을 확장에 다쓰겠다는것)

이제 n으로 들어가면 메뉴가 바뀐다. 확장안에서 쪼개는 메뉴다. 2/2/1 이기 때문에 +2G 로 2기가로 2개 쪼갠다.

 

마지막 1기가 이기때문에 전부 엔터쳐도 된다.

결과

 

mkfs

- 파일 시스템 생성

옵션
-t [종류] : 파일 시스템의 종류 선택
-c : 파일 시스템을 생성하기 전에 bad block을 검사 함
-v : 작업 상태와 결과를 자세히 출력 함

마운트(Mount)
- 운영체제가 물리적인 장치를 이용할 수 있도록 연결함
- Linux OS는 모든 장치를 파일 단위로 관리하기 때문에 새로 추가된 장치는 임의의 디렉터리(mount point)에 연결 시켜서 사용해야 함

마운트 포인트
- 하드디스크를 운영체제로 연결할 때 사용한 디렉터리
- 사용 중이던 디렉토리를 마운트 포인트로 이용할 경우 존재하던 파일과 디렉토리에 접근할 수 없게 되므로 마운트포인트는 비어있는 디렉터리를 사용(마운트포인트 해제시 기존의 파일 및 디렉터리에 접근 가능)

mount
- 파일 시스템 마운트 명령

사용법
# mount [-t 파일시스템 유형] [-o 옵션] [장치이름] [마운트 포인트]

 

umount
- 마운트 해제
- 운영제체와 장치의 연결을 해제 함

사용법
# umount [마운트 포인터]

 

파일 시스템 마운트 관리 파일( /etc/fstab )

- 리눅스가 부팅 되면서 파일 시스템을 어디에 자동으로 마운트 하고, 외부 장치들에 대한 마운트를 어떻게 설정하는지,

권한 및 복구 등의 옵션을 어떻게 이용할지 지정하는 파일

- 시스템부팅시 /etc/fstab 에 기록되어 있는 순서대로 파티션이 마운트 되어 한개의 디렉토리 트리가 만들어짐

- 자동 마운트

- 부팅할때 읽어들이는 파일에 적용 시키는것

 

fstab 확인

# cat /etc/fstab

①UUID=ec78d766-639a-4c6e-80a5-627449f11768 ②/ ③ext4 ④defaults ⑤1 ⑥1

UUID=.. : 장치명(Lable로 지정할수도있음)

/ : 마운트 포인터

ext4 : 장치의 파일 시스템 종류

defaults : 마운트 할때 사용하는 옵션 종류

1 : 덤프의 필요 여부를 지정함(하드 디스크 : 1, 그 외 : 0)

1 : fsck 명령(무결성 체크) 의 수행 여부

0 체크하지 않음

1이상 체크함(숫자가 작은 순서대로 체크함

1 최상위 파티션

2 그 외에 파티션의 번호를 지정하여 순서대로 체크함